남다르의 경제, 재테크 세상

남다르의 경제, 재테크 공부

  • 2025. 7. 6.

    by. namdarr

    반응형

     

    KB주간시계열 차트를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정리를 하였는데요. 

     

    전체 지역의 상승, 하락 분위기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B주간시계열 25년 7월 4일 / 양천구 과천 마포구 상승

     

    매매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양천구 1.0%, 과천 0.92%, 마포구 0.81%입니다. 

    강력한 대출규제로 인하여 서울의 상승률이 주춤하긴 하지만 아직 상승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부산 기장군 -0.19%, 이천 -0.16%, 강릉 -0.14%입니다. 

    지방지역들의 하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과천 0.73%, 송파구 0.28%, 양주 0.26%입니다. 

    과천의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대전 동구 -0.20%, 익산 -0.14%, 거제 -0.13%입니다. 

    대전의 전세가 하락이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증감률

     

    매매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12%로 다시 하락하였습니다. 

    전국도 0.05%로 다시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의 상승이 여전히 높게나왔습니다. 강력한 규제가 있었지만 소폭 하락은 했지만 여전히 높습니다. 

    세종, 경기, 울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번주는 대구의 하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시장의 강력한 대출규제로 인하여 강남4구의 상승은 잠시 주춤한 모습을 보입니다. 

     

     

    상승은 양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가 높게 나왔습니다.

    서울의 2급지들의 상승이 주를 이뤘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증감률

     

    전세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05%로 전주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전국은 0.03%로 마찬가지로 감소하였습니다. 

     

    전세는 서울의 상승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울산, 세종, 경기 순으로 높게 나왔네요. 

     

    이번 주는 대전의 하락이 가장 높게 나왔네요. 

     

     

     

    상승은 송파구, 광진구, 용산구, 강북구, 구로구가 높게 나왔네요. 

    하락한 곳은 없습니다. 

    매수자 / 매도자 동향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합니다. 

     

    서울지역은 76.4로 가파른 상승후에 하락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강남지역의 상승이 높았었습니다. 

    경기, 인천은 아직 상승이 높지는 않습니다. 

     

    전세 수급 동향

    전세수급지수는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부족" 비중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전세수급지수 140을 넘게 나온 지역들을 정리했습니다.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울산, 경기도, 강원도, 충북, 전북, 전남, 경남입니다. 

     

    140을 넘게 나온지역들이 상당히 증가하였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전국이 142.6으로 상승을 많이 했습니다. 

    100을 넘었기에 전세수급이 아직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 현황 (매매 / 전세)

     

    결론

    이번주 KB주간시계열 차트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정부의 대출규제로 인하여 서울의 상승세가 꺽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어떻게 변화될지 궁금하네요. 

     

    KB주간부동산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