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요즘 전기차 수요가 많이 감소되고 있는데요.
삼성SDI에서 미국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에서 ESS 배터리를 제작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SDI 미국에서 ESS 배터리 제작
삼성SDI가 2022년에 스타플러스에너지라는 이름으로 제작한 공장이 있습니다.
삼성SDI가 인디애나 공장을 최근에 용도 변경을 진행했습니다.
용도 변경을 했다는 내용은 기존의 계획이 변경되었다는 뜻인데요.
인디애나 공장은 스텔란티스가 제작하는 전기차에 탑재될 배터리로 제작할 계획이었습니다.
인디애나 공장은 올해 1분기부터 가동을 시작했고, 전체 계획은 4개 라인으로 되어 있습니다.
4개 라인중에 현재 가동이 되고 있는 라인은 1개 라인입니다.
나머지 3개 라인은 미가동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3개 라인중에 1개 라인을 ESS 개조라인으로 변경을 할 계획입니다.
삼성SDI ESS 배터리 이미지 (출처: 디일렉) 삼색 그라데이션 소제목 8
삼성SDI가 북미 고객사에 수주를 받았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북미 고객사는 미국 최대 전력 기업인 넥스트에라에너지(NEXT ERA ENERGY)입니다.
현재 개조작업은 진행을 하고 있고 152암페어정도 용량이라고 합니다.
삼원계배터리이며 각형 배터리로 제작한다고 합니다.
많은 변화가 이뤄지는건 아니고 미세 조정으로 제작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전기차 판매가 저조한 상황입니다.
최근에 아우디가 전기차 전환계획을 포기하고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변경을 했습니다.
현대자동차도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투자를 변경했습니다.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투자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현황
LG에너지솔루션의 얼티엄셀즈3공장을 전량 지분을 LG가 인수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GM대신 가동을 돌리기 위해 토요타로 공급하는 라인을 새로 구축 진행중입니다.
토요타 라인과 ESS 라인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SK온은 포드향으로 진행했던 켄터키1공장의 절반을 닛산 공급용으로 변경을 진행중입니다.
경쟁사도 합작사인 공장을 모두 전환하여 진행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
국내 주요 배터리3사가 전기차 판매의 저조한 실적으로 공장을 전환하여 운영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판매량이 확대되기에는 시간이 걸릴것 같습니다.
ESS 전환으로 배터리 시장이 활성화가 되기를 바랍니다.
디일렉 유튜브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하단 링크 참고하세요!!
HBM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 보세요!!
HBM은 무엇인가, 제작방법 및 시장전망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개발
최근 AI와 고성능 연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HBM은 더욱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HBM의 제작 방법, 시장 전망, 그리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경쟁 현황까지 정
first.namdar15.com
반응형'경제, 주식 > 2차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에너지솔루션 각형 배터리 확대를 위해 삼성SDI 협력사 접촉 및 인력 영입 (0) 2025.06.26 삼성SDI 헝가리 괴드 1공장에 개조 보완 투자 진행, 기아자동차에 공급 (1)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