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ㄱㄱ
ㄱㄱ
최근 주식시장과 산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 중 하나는 단연 2차전지입니다.
그 중심에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한 배터리 생산라인 확대를 진행 중인데요.최근의 투자 흐름과 장비 수주의 변화 방향, 그리고 관련 장비업체들의 움직임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현재 투자 방식은?
ㄱㄱ
ㄱㄱ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독자 공장보다는 합작사를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정되어 있던 폴란드, 오창, 애리조나, 미시건 등 일부 독자 공장은 일시 보류된 상태이고, 대신 합작사를 통한 글로벌 거점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주요 합작사 투자 현황:
- 인도네시아 카라왕 공장 (현대차그룹): 12GWh
- 캐나다 온타리오 공장 (스텔란티스): 145GWh
- 미국 조지아 공장 (현대차그룹): 30GWh
- 미국 오하이오 공장 (혼다): 40GWh
이처럼 합작사 모델을 통해 각국의 주요 완성차 기업과 손을 잡고 배터리 생산을 글로벌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합작 공장 (출처: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적층 방식: ALS vs AZS
각 공장에는 배터리 적층 방식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알스 아지스 설명 (출처: LG에너지솔루션) - ALS (Advanced Lamination & Stacking):
LG에너지솔루션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혼다·스텔란티스 합작 공장에 적용 예정 - AZS (Advanced Z-stacking):
현대차 측 요청으로 인도네시아·조지아 공장에 적용 예정
ㄱㄱ
ㄱㄱ
이 방식은 장비 선택과 공급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장비업체 입장에서는 기술 대응력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장비 발주 구조
ㄱㄱ
ㄱㄱ
초기 2차전지 장비 사업은 LG화학에서 출발했고, 장비 공급을 위해 LG전자 PRI(생산기술연구소)의 장비 리스트를 기반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때문에 지금도 LG전자 PRI를 통해 장비를 공급받는 구조가 일부 남아 있으며, 이 과정에서 중간 마진이 발생하는 원가 문제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점차 장비회사와 직접 거래(직거래) 방식으로 전환을 시도 중입니다.
- LG PRI를 통한 공급:
디에이테크놀로지, 나인테크, 신진엠텍, 시스템알앤디, ETS, 에스알디 등 - 직거래 대상 발굴 중:
탑엔지니어링, KCTECH 등
직거래 전환은 장비 성능이 전제 조건이며, 이들 업체는 성능 검증 및 납품 이력 확보를 통해 향후 LG에너지솔루션의 장비 발주에서 핵심 공급처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합작사 모델, 계속 이어질까?
현재의 합작사 중심 모델은 완성차 업체의 기술 확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얼티엄셀즈는 1~3공장까지는 공동으로 진행했지만, 4공장은 GM이 삼성SDI와 새 합작사를 만들면서 변화 조짐이 나타났습니다.ㄱㄱ
ㄱㄱ
즉, 초기에는 배터리 기술력이 부족해 LG에너지솔루션 등 전문 업체와 협력했던 완성차 기업들이 점차 기술력을 습득한 후 독립 또는 우위 관계 전환을 시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향후 배터리 수요처 구조 변화, 단가 협상력 재편, 장비 발주 체계 변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LG에너지솔루션은 합작사를 중심으로 배터리 시장을 확장하고 있으며, 장비 발주 구조도 기존 LG PRI 중심에서 직거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력이 있는 장비업체들의 선별적 수혜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배터리 장비 관련 주식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이러한 발주 구조 변화와 합작사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향후 2차전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장비 생태계도 함께 성장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디일렉 유튜브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 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한화세미텍이 SK하이닉스에 HBM 장비 첫 공급에 대해서도 같이 공부해 보세요!!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에 HBM 장비 첫 공급 / 한미반도체와 본격 경쟁 시작
최근 반도체 업계에서 주목할만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한화세미텍이 SK하이닉스에 HBM(고대역폭 메모리)용 핵심 장비인 TC본더를 공급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이로 인해 기존 시장을 선도하던
first.namdar15.com
반응형'경제, 주식 > 2차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 시장에도 파운드리 방향으로 진행 / JR에너지솔루션 메디콕스 (1) 2025.07.20 삼성SDI 미국 인디애나에서 ESS 배터리 제작 / 스탤란티스 공장 전환 (0) 2025.07.08 LG에너지솔루션 각형 배터리 확대를 위해 삼성SDI 협력사 접촉 및 인력 영입 (0) 2025.06.26 삼성SDI 헝가리 괴드 1공장에 개조 보완 투자 진행, 기아자동차에 공급 (1) 2025.06.17